농사 짓고 전기 만들고…농민·기업 상생 나선다
검색 입력폼
자치

농사 짓고 전기 만들고…농민·기업 상생 나선다

광주시, 전국 첫 ‘RE100 결합’ 영농형 태양광사업 추진
민관협 출범…지속가능 농업·친환경 에너지 전환 기대

강기정 광주시장이 5일 시청 중회의실에서 열린 ‘본량동 영농형 태양광 민관협의회 출범식’에 참석해 농민, 우원식 국회의장,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장관, 박균택 국회의원 등 참석자들과 함께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광주시가 전국 최초로 ‘기업 RE100’과 연계한 영농형 태양광 사업을 본격화한다.

농지 위에서 전기를 생산하고 아래서 농작물을 재배하는 새로운 형태의 에너지-농업 융합 모델로, 농민의 안정적 소득 창출과 기업의 친환경 전력 조달을 동시에 실현하는 새로운 상생의 길을 연다.

광주시는 5일 시청 중회의실에서 ‘본량동 영농형 태양광 민관협의회 출범식’을 열고, 농민 주도의 신재생에너지 전환 모델을 공식 출범시켰다.

이날 행사는 이재명 정부 국정과제인 ‘농민 햇빛연금 기본소득 도입’을 위한 영농형 태양광 사업의 본격적인 시작을 알리는 자리였다. 강기정 시장을 비롯해 우원식 국회의장,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 박균택 국회의원, 신수정 광주시의회 의장, 이원주 기후에너지환경부 에너지전환정책실장 등 200여명이 참석해 성공적인 사업 추진 의지를 다졌다.

이번 사업의 핵심은 ‘기업 RE100 연계’다.

광산구 본량동 일원 약 20만㎡ 농지에 10MW 규모의 태양광 발전시설을 설치하고, 생산된 전력을 인근 기업에 공급한다. 이를 통해 기업은 재생에너지 100% 사용(RE100) 목표를 달성하고, 농민은 토지를 유지하면서도 발전 수익의 일정 부분을 공유받는다. 농민과 기업이 동시에 이익을 공유할 수 있는 구조다.

이 사업은 ‘농민 주도형’으로 설계됐다.

광주시는 연말까지 관련 특별법 제정과 농지법 개정을 추진, 농민이 직접 영농형 태양광 사업의 주체로 설 수 있도록 제도적 기반을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본량동 영농형 태양광 민관협의회’에는 주민 대표를 비롯해 정부 관계부처 실국장, 광주시와 광산구, 시·구의회 의원 등이 위원으로 참여한다.

협의회는 사업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갈등을 조정하고, 사회적 합의를 이끌어내는 공식 협의체 역할을 맡는다.

또 재생에너지지구 지정, 영농법인 설립 지원 등 정부 정책에 신속히 참여할 수 있도록 전방위적 행정 지원을 실시하는 등 사업 성공의 마중물 역할을 수행할 예정이다.

이득룡 민관협의회 위원장은 “설명회 등을 통해 지식을 쌓아가면서 영농형 태양광이 단순 전기생산을 넘어 농민의 지속가능한 소득 창출과 지역사회의 미래를 바꾸는 전환점이 될 수 있겠다는 생각을 갖게됐다”며 “미래지향적인 해법을 찾고 농민 목소리가 잘 전달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우원식 국회의장은 “민관협의회는 에너지전환이라는 국가적 과제와 지역의 복잡한 갈등을 대화와 협력을 통해 해소하고 지속가능한 상생 모델을 만들어 내는 매우 중요한 자리”라며 “농민 중심의 모범적 영농형태양광 모델을 만드는데 적극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강조했다.

강기정 시장은 “이번 사업은 농민에게는 햇빛연금을, 기업에게는 RE100 실현을 가능케 하는 일거양득 사업이다”며 “농민 주도의 민관협의회가 사회적 합의를 이끄는 성공 모델이 되어 농업과 에너지가 상생하는 전국적 표준을 만들겠다”고 밝혔다.
이승홍 기자 photo25@gwangnam.co.kr         이승홍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광남일보 (www.gwangnam.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