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무진로 공영주차장 전경 |
12일 광산구에 따르면 공영주차장 이용 활성화를 위해 △2시간 1000원에 이용 가능한 ‘천원주차장’ △오후 7시부터 다음 날 오전 8시까지 무료 개방하는 ‘야간 개방’ △6개월 이상 장기권 선납 시 요금을 할인해주는 ‘캠핑카 할인제’ 등 3가지 맞춤형 요금제를 지난 4월부터 운영하고 있다.
현재 천원주차장은 △광주송정역 뒤 △무진로 △우산동행정복지센터 앞 △광산문화예술회관 옆 △운남동 △수완동행정복지센터 옆 △수완문화체육센터 지하 △하남3지구 주차타워 1·2 등 총 9개소다.
정책 시행 전후로 월 이용 대수는 3만9555대에서 4만5263대로 14% 증가했다.
특히 광주송정역 뒤 공영주차장은 2시간 요금을 1600원에서 1000원으로 낮춘 뒤 이용률이 27% 상승했다. 수익 감소 우려와 달리 전체 공영주차장 수입은 지난해 대비 26∼29% 늘어, 합리적 요금 정책이 이용 활성화와 수익 개선을 동시에 이끌었다는 평가다.
야간 개방 주차장 이용률도 꾸준히 상승했다.
야간 주차 이용량은 월 7000대에서 9000대로 늘었고, 특히 3시간 미만 단기 이용은 △우산동행정복지센터 앞(182%) △하남3지구 주차타워1(180%)에서 큰 폭으로 증가했다.
인근 상권 활성화에도 긍정적인 효과를 보였다. 캠핑카 장기권 할인제 접수율은 시행 전보다 평균 45% 증가, 장기 주차로 인한 안전 문제와 도시 미관 개선에도 도움이 됐다.
정책 시행 이후 불법주정차 문제도 크게 완화됐다.
고정식·이동식 단속카메라와 수기 단속을 포함한 불법주정차 적발·민원 건수는 2022년 21만건에서 올해 10월 기준 15만건으로 감소했다. 광산구는 맞춤형 주차 정책이 단순한 편의 정책을 넘어 교통질서 개선에도 실질적 성과를 냈다고 분석했다.
광산구는 오는 22일까지 온·오프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주민 의견을 수렴한 뒤 결과를 바탕으로 2026년부터 개선된 맞춤형 요금제를 본격 시행할 계획이다.
문의는 광산구 교통지도과(062-960-8988)로 하면 된다.
박병규 광산구청장은 “공영주차장은 단순한 주차 공간이 아니라 시민의 생활 편의와 지역 상권 활력을 높이는 공공 기반 시설”이라며 “이용 데이터를 기반으로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주차 정책을 지속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임정호 기자 ljh4415@gwangnam.co.kr
임정호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2025.11.13 (목) 02:4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