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금융감독원은 17일 이러한 내용의 카드 포인트 사용 활성화를 위한 제도 개선 방안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그동안 매년 수백억원의 카드 포인트가 사용되지 않은 채 소멸해 소비자 권익이 침해되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돼 왔다.
특히 모바일 앱 이용에 익숙하지 않은 고령층의 경우 포인트 사용에 더욱 어려움을 겪고 있다.
실제 지난해 소멸한 65세 이상 고령층의 카드 포인트 규모는 150억원으로, 2020년(108억원)보다 크게 늘었다.
이에 금감원은 현재 우리, 현대, KB국민 등 일부 카드사만 제공하고 있는 포인트 자동사용 서비스를 8개 전업 카드사로 전부 확대 도입할 예정이다.
특히 65세 이상 고령층에는 별도 신청 없이 포인트 자동사용 서비스가 기본 적용되도록 할 계획이다.
자동사용을 원하지 않는 경우에는 고객센터 등을 통해 해지할 수 있다.
또 카드 이용대금명세서에만 기재된 소멸 예정 포인트를 앞으로는 카드사가 문자메시지나 카카오 알림톡을 통해서도 사전에 안내할 방침이다.
소멸 예정 포인트를 확인하는 즉시 편리하게 바로 사용할 수 있도록 ‘원스톱 사용 서비스’를 제공하기로 했다.
이용대금명세서에는 소멸 예정 포인트 금액뿐 아니라 포인트 사용처나 현금화 신청 방법 등도 함께 안내할 구상이다.
아울러 금융결제원과 여신금융협회가 운영 중인 ‘카드포인트 통합조회·현금화 서비스’ 등도 고령층 등을 대상으로 적극적으로 홍보할 계획이다.
금감원은 이번 개선 방안을 연말까지 시스템 개발 등을 거쳐 완료된 카드사부터 순차적으로 시행하도록 할 예정이다. 고령층 대상 포인트 자동사용 기본 적용은 소비자 안내 기간을 거쳐 내년 2월부터 시행된다.
이산하 기자 goback@gwangnam.co.kr
이산하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2025.11.17 (월) 18:4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