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지방선거 앞두고 중앙당 후원회 구성 ‘박차’
검색 입력폼
국회

여야 지방선거 앞두고 중앙당 후원회 구성 ‘박차’

11년만에 제도 부활…‘100억 모으자’ 기대감

여야는 지방선거를 9개월여 앞두고 중앙당 후원회 구성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11년 만에 부활한 중앙당 후원금 제도에 따라, 각 정당은 연간 올해와 내년에 재정을 확충할 준비를 서두르고 있다.

지난 6월 정치자금법의 개정으로 각 정당은 중앙당 후원회를 통해 연간 50억 원, 선거가 있는 해에는 연간 100억 원까지 자금을 모금할 수 있다.

더불어민주당은 중앙당 후원회 설립을 위해 중앙선거관리위원회 관련 규정을 살피는 한편 실무 준비에 착수했다.

민주당은 중앙당 후원회가 2002년 대선 당시 한나라당의 ‘차떼기’ 불법 정치자금 수수 논란으로 폐지됐다가 다시 부활하는 만큼, 과거의 잘못된 관행을 원천적으로 차단하고 자금을 투명하게 관리하기 위한 장치 마련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김민기 수석 사무부총장은 3일 “입법 취지에 맞도록, 방안을 잘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자유한국당은 집권 여당에서 야당으로 전락한 뒤 당의 ‘곳간’이 줄어들어 중앙당 후원회 부활에 큰 기대를 거는 분위기다.

홍문표 사무총장은 “최근 자체 조사상으로 정당 지지율도 서서히 회복되는 추세라 중앙당 후원회를 설치하면 차차 사정이 좋아질 것”이라고 말했다.

국민의당은 지난달 말 전당대회를 통해 비상대책위원회 체제를 끝내고 새 지도부를 막 꾸린 상태라 구체적인 후원회 결성 계획을 마련하지 못했지만 조만간 관련 준비작업에 들어갈 예정이다.

김관영 사무총장은 “중앙당 후원회 부활에 당연히 기대감이 크다”며 “후원할 수 있는 분들에게 당을 위해 기여할 방법을 알려드리기 위해 여러 방안을 강구할 것”이라고 말했다.

바른정당은 지난 7월 19일 원내 정당 중 가장 먼저 중앙당 후원회를 설치해 중앙선관위에 공식 등록했다.

정문헌 사무총장은 “국회의원에게 책임당원이 아닌 사람들도 후원하듯이 중앙당에 후원할 수 있게 돼 기대를 걸고 있다”고 말했다.

정의당은 지난 2일 중앙정치자금특별위원회 설치 안건을 의결하고 내년 지방선거까지 150억 원 모금 프로젝트를 추진키로 했다.

3만여 명의 당원이 1인당 주변 지인들 5명에게 전액 세액공제 한도인 10만 원의 후원을 요청하는 방안을 마련했다. 또 정의당의 특정 사업이나 정책을 후원할 수 있도록 홈페이지에 커뮤니케이션 플랫폼을 개설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정의당 관계자는 “후원금을 모으면서 사람도 함께 모으자는 전략이다. 중앙당 후원회 제도를 지방선거에 적극적으로 활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성오 기자 solee235@gwangnam.co.kr         이성오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광남일보 (www.gwangnam.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