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참은 이날 “낮 12시29분께 북한 풍계리 일대에서 발생한 규모 5.7의 인공지진은 북한의 6차 핵실험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합참은 인공지진 감지 직후 전군에 대북 감시·경계태세 격상 지시를 하달했다.
합참은 아울러 한미 공조 하에 북한군이 동향을 면밀히 감시 중이라고 전했다.
한미 군 당국은 북한의 핵실험으로 최종 판단되면 다양한 대응 방안 시행을 검토 중이다.
북한의 핵실험 감행이라면 그동안 북한이 실시한 핵실험 중 폭발위력은 최대규모다. 정부와 군은 이번 인공지진 규모를 5.6에서 5.7로 격상했다.
1차(2006년 10월9일) 때는 규모 3.9(폭발위력 1㏏), 2차(2009년 5월25일) 4.5(3~4㏏), 3차(2013년 2월12일) 4.9(6~7㏏), 4차(2016년 1월6일) 4.8(6㏏), 5차(2016년 9월9일) 5.04(10㏏)로 평가됐다.
국방부와 합참은 풍계리 일대에서 인공지진을 감지한 직후 북한이 핵실험을 감행했을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위기조치반을 긴급 소집했다.
국방부는 그동안 북한이 풍계리 핵실험장의 2번, 3번 갱도에서 지휘부의 결심만 서면 언제든지 핵실험이 가능한 상태라고 평가해왔다.
북한의 1차 핵실험은 1번 갱도에서, 2차·3차·4차는 2번 갱도에서 실시됐다.
지난해 9월 5차 핵실험 장소도 4차 핵실험이 이뤄졌던 곳에서 400~500m 인근이고, 규모 5.04로 위력은 10㏏로 평가돼 당시 핵실험은 증폭핵분열탄으로 추정됐다.
이번에는 규모가 5.7로 5차 때보다도 위력이 커진 것으로 분석됐다.
앞서 국방부는 북한이 6차 핵실험을 감행할 것을 예상하면서 “북한이 주장하는 수소폭탄이나 증폭핵분열탄 식으로 상당히 강력한 위력을 보여줄 것”이라고 전망해왔다.
이성오 기자 solee235@gwangnam.co.kr
이성오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