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일 5·18민주화운동 공법3단체(유족회·부상자회·공로자회)와 5·18기념재단은 지난 4일 성명을 통해 “5·18민주화운동을 ‘광주사태’라 부른 한덕수 후보, 내란동조 세력임을 스스로 입증했다”고 밝혔다.
이어 “5·18의 역사적 의미를 폄훼하고, 국회와 헌법재판소, 국가기관이 이미 확정한 ‘민주화운동’으로서의 공적 가치를 정면으로 부정하는 것이다”고 비판했다.
한 예비후보는 지난 3일 전직 국회의원 모임인 헌정회를 방문한 뒤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5·18민주화운동을 ‘광주사태’라 칭한 것으로 알려졌다.
‘광주사태’는 전두환 신군부가 5·18을 광주에서 일어난 소요 사태로 규정하며 쓴 표현이지만, 진상규명 작업을 거치면서 공식적으로 ‘5·18광주민주화운동’으로 불리면서 사용하지 않은 단어다.
단체는 “평소 5·18에 침묵으로 일관해오다가 이제 와서 ‘호남 출신’을 강조하며 표심을 얻기 위해 기억의 현장을 정치적 무대로 삼는 이중적 태도를 보이고 있다”며 “그는 전두환 군사정권 시절 고위 공직 경력을 바탕으로 국무총리에 오른 인물로, 헌정을 파괴한 내란세력의 통치 질서에 복무했던 인물이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이 같은 이력이 있음에도 일말의 반성과 책임의식조차 없이, ‘광주사태’라는 용어를 입에 올린 것은 5·18 희생자와 유가족, 그리고 국민에 대한 명백한 모욕이다”고 덧붙였다.
또 “5·18민주화운동은 ‘광주사태’가 아니라, 헌정 질서를 수호하고 국민의 주권을 지키기 위해 피 흘렸던 숭고한 저항이자 대한민국 민주주의의 기둥이다”며 “‘사태’라 칭한 그의 인식은 그 자체로 국정 최고책임자를 꿈꾸는 사람의 자격을 근본적으로 의심케 한다”고 지적했다.
단체는 한 예비후보에 진정성 있는 참회와 공개 사과를 비롯해 5·18정신을 훼손한 것에 대해 정치적 책임을 지고, 관련 행보를 즉각 중단해야 한다고도 주장했다.
강기정 광주시장도 “5·18민주화운동을 자꾸 ‘사태’라고 반복하는 것을 보며 부끄러움이 밀려온다”며 “지난 45년 겹겹이 쌓인 기억과 아픔의 첫 겹조차 모르는 ‘호남사람’ 부끄럽고 화가 난다”고 비난했다.
이에 한 예비후보 측은 “단순 말실수”라고 설명했다.
한편, 한 예비후보는 지난 2일 대통령 출마를 공식 선언하고 첫 일정으로 국립 5·18민주묘지 참배에 나섰지만 광주 시민단체 등의 강한 반발로 발길을 돌렸다.
윤용성 기자 yo1404@gwangnam.co.kr
윤용성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