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주시, 푸드업사이클링 산업화 속도
검색 입력폼
나주

나주시, 푸드업사이클링 산업화 속도

농촌진흥청 국책사업 참여…2029년까지 79억 투입
제로웨이스트 시스템 구축…"푸드테크 경쟁력 확보"

나주시천연색소산업화지원센터 전경
나주시가 농업 부산물을 활용해 고부가가치를 창출하고 자원 순환 체계를 구축하는 농촌진흥청 국책사업에 참여해 푸드업사이클링 산업화에 속도를 낸다.

26일 시에 따르면 나주천연색소산업화지원센터는 최근 농촌진흥청 주관 국책사업인 ‘과실 부산물 제로웨이스트 기반 다용도 소재 기술개발’에 공동연구기관으로 참여한다.

이 사업은 배, 매실, 오미자 등 과실 가공 과정에서 발생하는 부산물을 활용해 표준 공정 모델 개발, 고부가가치 산업 소재 전환, 제품화·사업성 분석 등을 수행한다.

센터는 원료 표준화와 현장 실증, 농축액·감미료 대체제·분말·음료 등 시제품 개발, 산업화 소재 표준화, 경제성 분석 등 사업 전 과정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할 예정이다.

센터는 광동제약, 농협경제지주 식품연구원, 제너럴바이오, 대동엔지니어링, 경북대학교, 전남농업기술원 등 총 7개 기관과의 공동 연구를 통해 기술 상용화와 산업 생태계 확대에 박차를 가한다.

사업비 79억원 전액 국비 예산이 투입되며 2025년부터 2029년까지 5년간 추진된다.

특히 재활용률 90% 이상을 목표로 한 ‘제로웨이스트(Zero waste) 시스템’ 구축이 핵심이다.

제로웨이스트는 환경이나 인간의 건강을 위협할 수 있는 물질을 토지, 해양, 공기로 배출하지 않고 생산, 소비, 재사용 및 회수를 통해 모든 자원을 보존 및 재활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시가 농림축산식품부 푸드테크 공모사업 선정을 통해 역점 추진해온 푸드업사이클링 개념과 유사하다.

푸드업사이클링은 농축식품 가공 부산물을 활용해 건강기능식품, 화장품, 펫푸드, 비료 등 고부가가치 제품으로 재탄생시키는 기술로 탄소중립 실현과 기후변화 대응의 핵심 산업으로 각광받고 있다.

앞서 시는 지난 2024년 12월 농협식품R&D연구소, 광동제약 천연물융합연구개발본부, 전남농업기술원과의 푸드업사이클링 산업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윤병태 시장은 “나주시는 식약처 HACCP 및 GMP 인증을 받은 대형 생산설비를 갖춘 천연색소산업화지원센터와 2026년 완공 예정인 푸드테크 연구지원센터를 중심으로 산업화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다”며 “지역 특산물인 배 부산물의 활용도를 높여 나주를 지속 가능한 푸드테크 중심도시로 도약시키겠다”고 말했다.
나주=조함천 기자 pose007@gwangnam.co.kr         나주=조함천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광남일보 (www.gwangnam.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키워드 :
- 신협, 모바일 신분증 서비스 확대
- 전국 74개 상의, 지역별 맞춤 입법 대응 나선다
- 광주조달청, 혁신제품 지정 ㈜에스아이솔루션 방문
- 호남권 최대 식품박람회 광주서 열린다
- 재단법인 남도장터, 2025년 인권경영 선포식 개최
- 조선간호대 청라봉사단, 나주 남산마을서 재능기부
- [부고] 문병완(광주 서부경찰서 형사3팀장)씨 부친상
- 진도군, 해양교통 정보 제공 등 안전강화
- 화순군, 고인돌 배움캠프 운영
- 교통·환경 등 광주 도시문제, AI로 해결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