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해남군 원스톱 귀농·귀촌 정책 ‘눈에 띄네’
검색 입력폼
사설

[사설]해남군 원스톱 귀농·귀촌 정책 ‘눈에 띄네’

해남군이 도시민 ‘귀농·귀촌 1번지’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지난 2019년 귀농·귀촌 유치를 본격화 한 이래 지금까지 6년간 귀농인 847가구 1014명, 귀촌인 7446가구 8468명의 인원이 정착한 것이다.

즉, 도시민 8331가구 9444명이 노후의 안정적 생활과 농촌에서의 인생 2막을 꿈꾸며 해남으로 몰려들었다는 얘기다.

여기서 귀농인은 도시지역에서 1년 이상 거주하다가 농촌으로 이주해 농업경영체를 등록한 농업인이고 귀촌인은 농업이 아닌 다른 업종에 종사하는 인구를 말한다.

지난해에는 123명의 귀농인이 유입돼 전남 1위, 전국 3위까지 차지했다고 한다.

이는 전국에서 가장 넓은 경지면적과 친환경인증 면적을 보유하고 있는데다 다양한 특화작목 등 농업기술도 잘 보급돼 있는데 따른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무엇보다 해남군의 체계적인 귀농 정착 지원 정책이 가장 큰 역할을 했다.

먼저 눈에 띄는 귀농 정책으로 예비 귀농인이 실제 정착에 이르기까지 전 과정을 지원하는 원스톱 시스템을 들 수 있다.

이는 농업기술센터 귀농귀촌팀의 초기 상담, 그리고 농지 확보, 주택 수리·임대 지원, 귀농 창업자금 연계 등 귀농인이 되기까지 행정적·재정적 뒷받침을 아끼지 않는 것으로 귀농인 정착률 제고에 효과가 크다고 한다.

또 이사비 지원, 영농 창업 상품권 등 실질적인 경제적 혜택은 물론 ‘영농정착 확대 지원사업’을 통해 초기 종자 구입비부터 단계별 포장박스 제작, 홈페이지 구축까지 체계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여기에 선도농가 현장실습 등 실전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농사 정보 제공과 실제 농촌 생활 체험, 그리고 지역사회와의 소통까지 돕고 있다.

해남군은 앞으로 청년 귀농인 유입 확대와 창업 지원 강화, 지역 공동체와 연계한 정착형 프로그램 지속 운영과 함께 정주 여건 개선에도 전력을 기울일 예정이라고 한다.

해남군의 귀농·귀촌 정책이 저출산, 고령화로 지역 소멸 위기의 어려움을 겪고 있는 농촌 지역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고 있는 것이다.
김상훈 기자 goart001@gwangnam.co.kr         김상훈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광남일보 (www.gwangnam.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키워드 :
- 내년 최저임금 시간당 1만320원…17년만에 노사공 합의
- KIA, 한화에 2-3 역전패…전반기 4위로 마감
- KIA 윤영철, 팔꿈치 부상에 올스타전 불발…성영탁 대체 출전(종합)
- KIA 윤영철, 팔꿈치 부상에 올스타전 불발…성영탁 대체 출전
- 전남 ‘RE100 국가산단’ 조성 탄력받나
- "주차장 봉쇄·신원 확인…무서워 집 못 가요"
- 광주시의회, 첫 여성 의장 중심 민생중심 의정 운영 실현
- 광주시, 챔필 관람석 교체 속도…휴식기 60% 목표
- 광주∼나주 광역철도 사업 재추진 한다
- 광주은행, 세계(장애인)양궁선수권대회 성공개최 동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