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광주시는 6일 “지난 7월 17일부터 19일까지 이어진 기록적 폭우로 심각한 피해를 입은 북구와 광산구 일부 지역이 중앙정부로부터 특별재난지역으로 공식 선포됐다”고 밝혔다. 지정은 중앙합동조사단의 현장 확인과 피해액 산정, 중앙안전관리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최종 확정됐다.
특별재난지역으로 지정됨에 따라 지방자치단체의 복구비 부담은 대폭 줄고, 주민들은 국세·지방세 감면, 건강보험료와 국민연금 납부 유예 및 감면, 전기·통신·도시가스 요금 감면 등 다양한 재정적 지원을 받을 수 있다.
광주시는 이번 선포를 이끌어내기 위해 자치구 공무원 대상 NDMS(국가재난관리정보시스템) 사용 교육과 ‘중앙합동조사단 긴급지원반’ 운영 등 체계적인 대응에 나서며 정확한 피해 집계와 정부 설득에 주력해왔다.
또한 김민석 국무총리와 김용균 행정안전부 실장, 박찬대 전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 등 중앙 인사들의 광주 방문 시 피해 상황을 적극 설명하고, 신속한 일상 회복의 필요성과 지정의 타당성을 강조했다. 지난 1일에는 강기정 광주시장이 대통령 주재 전국 시·도지사 간담회에 참석해 피해 상황을 직접 보고하고, 특별재난지역 지정과 상습 침수지역 개선을 위한 국비 지원을 요청하기도 했다.
강 시장은 “시민들이 하루빨리 일상을 회복할 수 있도록 모든 행정역량을 집중하겠다”며 “정부 지원을 토대로 재난지원금 지급과 복구사업을 신속히 추진하고, 침수지역에 대한 중장기 대책과 구조 개선 사업에도 중앙정부의 재정적 지원을 지속적으로 요청하겠다”고 밝혔다.
광주는 이번 집중호우로 426.4㎜의 일일 강수량을 기록하며 기상 관측 이래 최악의 폭우를 겪었다.
이로 인해 사망자 2명, 이재민 287세대 417명, 공공 및 민간 시설 피해 3838건(공공 471건, 민간 3367건)이 발생했으며, 현재 응급 복구율은 91.6%에 이르고 있다.
양동민 기자 yang00@gwangnam.co.kr
양동민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