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광주시는 국가AI데이터센터(사진) 등 AI 관련 연구소와 기업이 집적돼 있어 ‘AI 1단계 사업’의 성과를 토대로 추가 확장 가능성이 높은 지역으로 평가 받고 있다. |
특히 광주시는 지난 대선 때 이재명 대통령이 광주를 ‘AI 중심도시’로 육성하기로 약속한 데다 관련 기업과 연구소가 집적돼 있는 ‘AI 1단계 사업’의 인프라를 강점으로 유치에 자신감을 내비치고 있다.
10일 광주시 등에 따르면 국가AI컴퓨팅센터 구축 사업은 정부와 민간이 공동 출자해 2027년까지 1엑사플롭스(EF)급 AI 데이터센터를 비수도권에 조성하는 대형 프로젝트다. 총사업비는 2조5000억원으로 인공지능 R&D(연구개발), 스타트업 육성, 산업 데이터 거점 등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국가AI데이터센터 3차 공모를 이르면 이달 말이나 9월 초에 실시할 계획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앞서 1·2차 공모를 진행했으나 정부가 과반 지분(51%)을 보유하는 구조로 민간 자율성이 제한되고, 특수목적법인(SPC) 청산 시 매수청구권 조항 등 투자 리스크가 크다는 판단에 기업들이 응모하지 않았다.
이에 정부는 기업 의견과 금융권, 공공기관 의견을 종합해 공모 조건을 일부 완화, 이르면 이달 말에서 9월 초에 국가AI위원회 의결을 거쳐 재공모할 것으로 관측된다.
특히 이번에는 지방자치단체가 아닌 기업이 공모 주체가 되도록 구조를 변경해 실제 사업 추진 가능성을 높이겠다는 취지다.
앞서 정부는 지난 6월 간담회를 열어 공모 실패 원인으로 지목된 SPC 비율 변경 등 업계 요구를 수렴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국가AI컴퓨팅센터 구축사업을 국가인공지능위원회 의결을 통해 진행하려 한다”며 “공모는 이르면 8월 말 늦어도 9월 초에 진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처럼 정부와 기업이 3차 공모를 앞두고 전향적인 입장을 밝힌 가운데 지자체 중에서는 ‘국가AI데이터센터’를 운영 중인 광주시가 가장 적극적인 유치 활동에 나서고 있다.
광주시는 이미 3곳 이상의 기업들과 협의에 나서고 있는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특히 광주시는 기업들의 센터를 운영할 수 있는 부지와 전력 인프라를 갖추고 있어 당장 입주도 가능한 최적의 입지를 확보하고 있다.
여기에 광주는 AI 관련 기업과 연구소가 집적돼 있어 ‘AI 1단계 사업’의 성과를 토대로 추가 확장 가능성도 높은 지역으로 평가된다.
또 정부가 AI 2단계 사업에 대해 예비타당성 조사를 면제하면서 6000억원 규모의 투자가 예정돼 있고, AI지식산업센터 건립이 확정되는 등 인공지능 생태계 기반도 강화되고 있다.
강기정 광주시장도 조속한 국가AI컴퓨팅센터 3차 공모를 요청하고 나섰다.
강 시장은 지난 1일 이재명 대통령과의 간담회에서 “속도와 집적이 가장 중요한 AI 산업의 특성을 고려해 현 AI집적단지 인근에 국가AI컴퓨팅센터 유치를 준비하고 있다”며 “지난 6월 유찰된 국가AI컴퓨팅센터 공모사업도 신속히 추진해 달라”고 요청한 데 이어 본격적인 유치 준비에 착수했다.
강 시장은 “초거대 AI컴퓨팅센터와 관련해서도 대통령에게 조속한 공모를 요청드렸고, 대통령도 직접 챙겨보겠다고 말했다”며 “최근 구윤철 기재부 장관을 만나 이 사안에 대해서도 구체적으로 건의했다”고 강조했다.
광주시 관계자는 “이번 공모 주체가 지자체가 아닌 기업인 만큼, 다수 기업이 컨소시엄을 구성해 국가AI컴퓨팅센터 입지를 광주로 정하고 응모하도록 유치전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며 “정부의 공모가 재개되면 광주의 장점을 적극 어필해 기업들이 광주를 국가AI컴퓨팅센터 입지로 선정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장승기 기자 sky@gwangnam.co.kr
장승기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