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형 화재 3개월 만에…금타 현장 감식 착수
검색 입력폼
사회일반

대형 화재 3개월 만에…금타 현장 감식 착수

13일부터 건물 해체 작업 시작…붕괴 위험 속 지연
감식 작업은 발화 추정 2층 전기오븐 중심으로 진행

18일 해체공사가 진행 중인 광산구 소촌동 금호타이어 2공장 정련동 건물에 대한 경찰, 소방, 국립과학수사연구원의 현장감식이 진행됐다. 최기남 기자 bluesky@gwangnam.co.kr
대형 화재로 가동을 멈춘 금호타이어 광주공장 사고 원인을 찾기 위한 현장 감식이 3개월 만에 첫 발을 뗐다.

18일 광주 광산구 소촌동 금호타이어 광주공장.

공장 한쪽에는 지난 5월 발생한 화재로 검게 그을린 지상 3층 규모의 건물이 자리 잡고 있었다.

압쇄기와 절단 기계 등 중장비가 전소된 공장 건물 해체 작업을 하느라 분주한 모습이었다.

또 해체 과정에서 발생한 분진 등을 줄이고자 마련된 살수차에서도 쉴새 없이 물이 뿌려지고 있었다.

화재로 전소된 2공장 정련동 건물 내부는 폐허와 다름없었다.

공장 주변으로 콘크리트 구조물과 토사, 그리고 타이어 공정에 필요한 기계들이 널브러져 있었고, 철근이 곳곳에서 드러나는 등 처참했던 기억을 떠올리게 했다.

공장 일부는 해체 작업으로 인해 화재 이전 모습을 알아볼 수 없는 상태로 무너져 있었다.

앞서 금호타이어는 지난 12일 광산구로부터 광주공장 2공장인 정련공정 건물의 해체 착공 신고를 승인받았다.

이후 화재 잔해물 정리와 가림막 설치 작업이 이뤄졌고 해체 준비작업을 거쳐 13일부터 본격적인 건물 해체에 들어갔다.

사고 현장이 건물 해체로 여념이 없는 가운데 한쪽에서는 화재 원인을 밝히기 위한 준비가 한창이었다.

경찰과 소방, 국립과학수사연구원 등은 이날 오전 10시 30분부터 발화 원인을 분석하기 위한 현장 감식을 펼쳤다.

앞서 화재 원인 조사를 위한 현장 감식이 이뤄져야 했지만, 전문가 안전진단 결과 건물 구조물이 화재로 약해져 붕괴 위험이 확인하면서 다소 시간이 지연됐다.

이날 감식은 불이 시작된 것으로 전해진 2층 산업용 대형 전기 오븐을 중심으로 진행됐다.

불이 고무정련을 위한 산업용 전기 오븐에서 발생한 불꽃에서 시작된 것으로 추정되기 때문이다.

경찰 등은 감식을 통해 화재 원인 등을 구체적이고 명확하게 밝힌다는 입장이다.

이외에도 경찰은 화재 확산을 막기 위한 사전 조치 및 대책 마련 여부, 방화문 작동 여부 등에 대한 조사도 이어나갈 방침이다.

한편, 지난 5월17일 오전 7시10분께 금호타이어 광주공장 2공장 정련공정 일대에서 화재가 발생했다.

불은 축구장 3개 면적을 태운 뒤 77시간 만인 지난 5월20일 오전 완진됐다.

현재 해체 작업은 현장 감식, 현장 보존과 안전 문제 등을 고려해 경찰이 입회한 가운데 이뤄지고 있다.

해체 작업은 중장비를 이용한 압쇄 공법으로 건물 위층부터 아래층으로 차례로 부수는 식으로 이뤄진다. 철거 완료까지는 3개월여가 소요될 것으로 보인다.

건물 해체로 인해 발생할 건축 폐기물은 덤프트럭 4013대 분량인 9만2311t으로 예상된다.
윤용성 기자 yo1404@gwangnam.co.kr         윤용성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광남일보 (www.gwangnam.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