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날 정 병원장은 “의료가 완전히 정상화하려면 수개월에서 3년이 더 걸린다”며 “자구책은 마련하고 있지만 국립대병원 경영 상태, 수익 구조가 좋지 않다”고 읍소했다.
앞서 전남대병원의 최근 3년간의 재정 상태를 언급하며 재정 정상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는 문정복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지적에 대한 답변에 현실적인 어려움을 호소한 것이다.
또 문 의원은 “전남대병원이 보유한 MRI 기기·혈액투석기·신생아 인큐베이터의 보유 연한이 10년 이상 15년 미만이 30개, 15년 이상 20년 미만은 21개에 달한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정 병원장은 “재정 문제인데, 지원이 필요하다”며 “거점국립대병원협의회 이름으로 교육부에 ‘진료비 25% 지원금’을 상향 조정해달라고 지속적으로 요청 중이며 더욱 노력하겠다”고 답했다.
김대식 국민의힘 의원은 전남대병원의 권역책임 의료기관 최종 치료역량강화 사업 예산이 대폭 삭감된 것에 대해 질의했다.
전남대병원은 보건복지부 사업 선정으로 당초 약 144억원을 확보했으나 광주시가 분담분인 지방비를 마련하지 못해 최종 사업 확정액이 68억여원으로 반토막 났다.
김 의원은 “보건복지부가 올해 17개 책임의료기관의 최종 치료역량강화 사업을 통해 전남대병원을 지원할 예정이었는데, 다른 지역은 당초보다 더 많은 지원을 받았다”며 “시와 협조해 예산을 확보해야 하는 것 아니냐. 내년에도 지방비 분담이 안 되면 대폭 삭감이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정 병원장은 “지자체별 재정 편차가 있어 어려움이 있는 것 같다”며 “권역 책임 의료기관으로서 지역 의료의 완성도를 높이려면 지방비 매칭 비율을 낮춰야 한다”고 답했다.
김용태 국민의힘 의원은 전남대병원의 적자 규모가 지난해 677억원에서 올해 884억원으로 폭이 커질 것을 우려했다.
김문수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지역 거점 국립대병원에 대한 국고 지원 확대의 필요성을 국감장에 참석한 교육부 관계자에게 강조했다.
한편, 이날 국감에서는 내부 구성원만으로 운영되는 징계위원회의 공정성 훼손에 대한 우려, 국립대병원 소관 부처를 교육부에서 복지부로 이관하는 데에 대한 현장 의견 등의 질의도 나왔다
이산하 기자 goback@gwangnam.co.kr
이산하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2025.10.22 (수) 23:5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