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국전력은 29일 한국동서발전 울산발전본부에서 국내 최초이자 최대 규모인 ‘LNG 발전 1MW 습식 CO2 포집 플랜트’ 준공식을 개최했다. |
![]() |
한국전력은 29일 한국동서발전 울산발전본부에서 국내 최초이자 최대 규모인 ‘LNG 발전 1MW 습식 CO2 포집 플랜트’ 준공식을 개최했다. |
이날 준공식에는 울산시, 한국동서발전, 한국전력기술 및 현대중공업파워시스템 등 관련 기업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CO2 포집기술은 발전소 배출가스 중 CO2 만을 선택적으로 포집해 제거하는 기술로, 탄소중립 달성에 필수적이다. 또한 제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으로 석탄화력발전의 LNG 전환이 추진되면서 이 기술의 적용 범위도 점차 확대되고 있다.
하지만 LNG 발전소의 배기가스에는 CO2 농도가 석탄화력 대비 1/3 수준으로 낮아 포집 비용이 높고, 산소 농도가 높아서 기존 포집기술의 적용이 어려웠다. 이에 한전은 LNG 발전 맞춤형 CO2 흡수제를 개발해 포집 효율과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해 왔다.
이번 설비는 연간 3000여t의 CO2를 90% 이상 효율로 포집할 수 있는 규모로 구축됐으며, 산업통상자원부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의 지원 아래 한전이 주관하고 5개 발전사 및 대학, 기업이 공동 참여했다.
한전은 LNG 발전 CO2 포집용 흡수제 개발과 공정 설계를 수행했으며, 한국전력기술은 포집 플랜트 기본설계, 현대중공업파워시스템은 EPC(설계·조달·시공)를 담당했다.
이번 사업의 목표는 1MW급 파일럿 설비를 복합화력과 연계해 포집 효율 90%, 순도 99.9% 이상의 CO2 포집을 연속 1000시간 이상 달성하는 것이다. 향후 이를 바탕으로 연간 약 50만t CO2 포집이 가능한 상용 플랜트의 기본설계 또한 확보할 예정이다.
해당 설비는 지난해 11월 시운전에 착수해 현재 CO2 포집 및 압축 액화 연계 운전 시험을 진행 중이다. 향후 포집된 CO2는 산업계에 공급되거나 연구 설비에 활용돼 부가가치 창출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문일주 한전 기술혁신본부장은 “이번 실증설비는 가스발전 온실가스 저감의 핵심 인프라로, 2050 탄소중립 실현에 크게 기여할 것”이라며 “한전이 축적한 기술력을 바탕으로 국내외 탄소중립 목표 달성을 위한 핵심기술 개발을 선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이승홍 기자 photo25@gwangnam.co.kr
이승홍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