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박성재 전남도의원 |
6차 산업은 농·수·축산업 등 1차 산업을 단순한 생산에 그치지 않고 가공(2차 산업) 및 서비스, 관광, 체험(3차 산업)과 융합해 고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신개념 산업이다. 다시 말해, 농촌이 가진 자원과 특성을 최대한 활용하여 농업의 부가가치를 극대화하는 전략적 접근 방식이다.
예를 들어, 농촌의 특산물을 단순히 생산하고 판매하는 데 그치지 않고, 지역 농산물을 활용한 특화된 가공식품을 생산하고, 이를 소비자들이 현장에서 직접 맛보고 즐길 수 있는 체험형 관광 상품으로 개발하는 것이다. 이처럼 생산과 가공, 서비스가 융합된 형태의 산업 모델은 이미 국내외에서 성공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이미 국내 곳곳에서 6차 산업을 통한 성공 사례가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다. 대표적으로 농촌 체험관광마을이나 팜스테이(Farm Stay), 로컬푸드를 활용한 지역 특산품 브랜드화 사업, 스마트팜과 연계한 체험농장 조성 등은 6차 산업화가 지역 농업경제 활성화에 기여하는 좋은 사례로 손꼽힌다.
특히, 전남 담양의 딸기체험마을, 보성의 바나나 체험농장, 고흥의 커피체험, 구례의 산수유마을 관광 등은 농업 생산을 체험형 관광으로 연계시켜, 농가 소득은 물론 지역 내 일자리 창출과 지역경제 활성화라는 성과를 이루고 있다. 해외의 경우에도 일본과 유럽 등지에서 농업을 기반으로 한 6차 산업이 지역 활성화와 인구 유입에 큰 효과를 거두고 있는 만큼, 전남도 차원에서 이를 적극적으로 벤치마킹할 필요가 있다.
6차 산업은 단순히 농업 소득을 높이는 데 그치지 않는다. 먼저, 농산물의 가공과 서비스 부문이 결합하면서 부가가치가 크게 높아진다. 가공을 통해 농산물의 가치를 높이고, 관광·체험 서비스를 통해 소비자와의 접점을 확대할 수 있다.
둘째, 농촌에 다양한 일자리가 창출된다. 6차 산업은 젊은 인재들이 지역으로 돌아오거나 유입을 늘리는데 큰 도움이 된다. 실제로 농촌관광과 스마트 농장 같은 새로운 산업모델에 젊은층의 관심과 참여가 증가하고 있다.
셋째, 지역 특화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각 농촌 지역이 가진 고유한 특산물과 역사·문화적 자원을 활용하면 경쟁력 있는 농촌 브랜드를 만들 수 있다. 이를 통해 지역 이미지를 높이고 지속 가능한 농촌 발전의 기반을 마련할 수 있다.
물론 6차 산업을 성공적으로 안착시키기 위해서는 적극적인 정책적 지원과 제도적 기반 마련이 필수적이다. 지역의 특성에 맞춘 사업 계획 수립, 초기 자본과 기술 지원, 전문인력 양성 등 정부와 지자체 차원의 종합적 지원이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6차 산업은 장기적인 안목에서 접근해야 한다. 단기 성과만을 바라보지 않고, 지역 주민이 주체가 되어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는 방향으로 추진해야 성공 가능성이 높아진다.
우리 전남은 풍부한 농·수·축산물과 수려한 자연경관, 독특한 역사·문화적 자원을 보유한 곳이다. 이러한 자원을 적극 활용한 6차 산업을 통해 농촌 지역의 경제를 활성화하고, 지역 주민들의 삶의 질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내 고장 해남군만 해도 대부분 단순한 생산·판매 형태에 머물러 있어 지역 농어가의 소득 창출과 지역경제 활성화 측면에서는 여전히 아쉬운 부분이 있다. 예를 들어 전남도가 적극적으로 6차 산업을 주도하고 이끌어 고구마와 김을 이용해 체험객이 직접 수확하는 체험을 바탕으로 가공식품 제조까지 연계한 관광상품으로 개발한다면, 관광객 유입과 농어가 소득 향상 모두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제 농촌의 미래를 위해 6차 산업을 재조명하고 적극 확대해야 한다. 전남도가 생산 중심에서 벗어나 가공과 체험, 관광, 서비스가 융합된 새로운 농업 패러다임으로 지역의 지속 가능한 성장을 이끌어 나가기를 기대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