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일 지역 교육계와 의료계 등에 따르면 전국 40개 의대 총장 모임인 의과대학 선진화를 위한 총장협의회(의총협)는 동맹휴학 중인 의대생들의 복귀·졸업 시점을 놓고 이견을 좁혀나가고 있다.
앞서 의총협은 각 대학 의대의 교육 정상화를 위해 8000명에 달하는 유급생들에 대한 유급 조치는 그대로 하되 학칙 변경을 통해 ‘2학기 복귀’를 허용하기로 뜻을 모았다. 본과 4학년생들의 졸업 시점은 내년 8월로 정하고, 이들에게 추가로 의사 국가시험을 치를 수 있도록 하는 방안에 합의한 것으로 알려진다.
그러나 본과 3학년의 졸업 시기를 두고 내후년 2월과 8월 등 2개의 안을 놓고 진통을 겪었다. 급기야 5월 졸업 안이 나왔으나, 특혜 논란 우려와 함께 제도적으로 불가능하다는 판단에 폐기됐다.
의총협은 의대생 본과 3학년의 졸업 시점을 학칙에 따라 자율적으로 정하는 방향으로 방침을 세우고, 조만간 발표할 예정이다.
이에 광주지역 대학들도 대응에 나섰다.
전남대학교는 본과 3학년 학생들의 졸업 시기를 놓고 논의에 들어간 것으로 알려진다.
조선대학교는 의총협의 중지가 정부에 전달돼 지침이 정해지면 속도감 있게 본과 3학년생들의 졸업 시기를 정한다는 방침이다.
한 대학 관계자는 “원활한 학사 운영이 이뤄지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이산하 기자 goback@gwangnam.co.kr
이산하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