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개호, ‘소아의료 사각지대’ 정부 대책 촉구
검색 입력폼
정치일반

이개호, ‘소아의료 사각지대’ 정부 대책 촉구

전남 시군 15곳 의원급 소아청소년과 없어

더불어민주당 이개호 의원(담양·함평·영광·장성)은 28일 “전국 의원급 의료기관 수는 3만6000 개소를 넘어서며 꾸준히 증가하고 있지만, 정작 아이를 돌볼 수 있는 지방의 소아청소년과 의원은 감소하고 있다”며 소아진료 사각지대 해소에 대한 정부의 종합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소아청소년과 의료기관은 지난 2018년 2221개소에서 올해 2187개소로 34개소가 감소한 반면, 같은 기간 전체 의원은 3만1032개소에서 3만6520개소로 5488개소(17.7%)가 증가했다.

이는 소아청소년과 의원의 증가 추세와 정반대로 소아청소년과 의료기관이 저출산, 낮은 수익성, 전공의 기피 등 구조적 요인에 직면해 있음을 보여준다.

전국적으로도 소아청소년과 의료기관이 ‘0개소’인 기초자치단체가 58곳에 달하며 대다수가 농산어촌 지역이다.

이 지역들은 병원급 의료기관의 소아과 전문의 부재, 대학병원 전원 연계 미흡으로 응급·중증환자 대응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특히 전남의 경우 의원급 소아청소년과가 없는 기초단체 지역이 담양·해남·고흥·곡성 등 15개 지역으로 전국 광역자치도 중에 가장 많다.

영광군의 경우는 지난 2018년까지 한 곳이 있었지만, 폐업 이후 현재까지 재개원이 없는 상태다.

이개호 의원은 “농어촌지역은 출산을 장려해도 아이를 진료할 곳이 없는 소아의료 사각지대 상태로 소청과는 낮은 수익성·높은 민원·야간·응급 부담으로 전공의 기피가 극심한 진료과이므로, 특수성을 반영한 인력·시설·행정지원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또 “농어촌지역은 소청과 전공의 유입률이 0%에 가까워 구조적 의료 사각지대를 극복하기 위한 지방의 특성을 반영한 제도 마련이 절실하다”며 “소아의료체계 강화는 대한민국 미래에 대한 투자이기 때문에 정부가 종합적인 대책을 마련하도록 촉구하겠다”고 밝혔다.
이성오 기자 solee235@gwangnam.co.kr         이성오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광남일보 (www.gwangnam.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