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재난 등 긴급한 상황에 대비해 광주 도심에 설치된 ‘비상급수 시설’의 관리체계가 전반적으로 허술하다는 지적이다.
지하수가 오염에 취약함에도 관리 주체인 각 자치구가 이를 소홀히 하고 있고, 수질검사 후 결과표 게시 의무도 주먹구구식으로 이뤄지고 있기 때문이다.
3일 광주 5개 자치구 등에 따르면 민방위 비상급수시설은 수원지 파괴, 전쟁 같은 유사시 상수도 시설이 제 기능을 다 할 수 없을 때 음용수, 생활용수 등 비상용으로 활용하기 위해 관리하는 시설이다.
비상급수시설은 지하 관정 및 저수조와 자가 발전기, 정수기 등 부대시설 일체를 포함하며, 지역에는 총 153개소(동구 12개소, 서구 26개소, 남구 27개소, 북구 27개소, 광산구 61개소)가 운영되고 있다.
민방위 비상급수시설은 수질 기준에 따라 음용수와 생활용수 시설로 구분된다.
해당 시설은 ‘먹는물관리법’과 ‘먹는물수질기준및검사등에 관한 규칙’ 등에 따라 정기적인 점검과 수질관리로 상시 사용 가능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철저히 관리해야 한다.
음용수의 경우 분기별로 일반세균, 총대장균군 등 6항목을, 생활용수는 3년마다 질산성질소, 중금속 등 16항목에 맞춰 보건환경연구원 등에 의뢰한다.
그 결과에 따라 부적합 시설은 양수조치, 관정소독 후 재검사, 기준 초과 시 이용 중지나 용도 변경의 조치를 취한다.
하지만 시설을 관리해야 할 각 자치구는 보건환경연구원에 의뢰해 나온 수질검사 결과를 민방위 부서에 제때 보고하지 않거나, 시민에게 제대로 정보를 제공하지 않고 있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실제 한 자치구 민방위 비상급수시설의 안내 표지판은 곳곳이 훼손된 채 뜯어져 있었고, 또 다른 시설의 안내 표지판은 기둥만 세워진 채 내용은 전혀 알 수 없을 정도로 지워져 있었다.
수질검사 결과를 급수시설 게시판 등에 게시해야 하나 해당 결과를 제대로 알린 시설은 극소수에 불과했다.
대부분 수년 전 결과가 그대로 비치돼 있고, 심한 곳은 2019년 결과가 게시돼 있거나 아예 게시판이 사라진 경우도 있었다.
시민들 중에는 최신 수질검사를 요구하는 경우도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보건환경연구원도 관련 사항에 대해 불성실하게 답변하거나 주먹구구식으로 운영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문제는 이뿐만이 아니다.
지하수 오염을 이유로 각 자치구가 16개소에 설치 예정인 ‘수질 살균기’의 경우에도 예산 낭비라는 지적이다.
수질 부적합률이 장비 설치 전(15%)·후(10%)를 비교할 때 큰 차이가 없고, 해당 설비가 중금속 오염에는 쓸모가 없기 때문이다.
올해 각 자치구에는 각 9000만원 상당의 관련 예산이 배정됐다.
한 자치구 관계자는 “관리 책임과 감독을 강화해 시민들의 걱정이 없도록 하겠다”며 “향후 비상 상황에도 시민의 식수 및 생활에 필요한 용수를 제공할 수 있도록 비상급수시설 관리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말했다.
윤용성 기자 yo1404@gwangnam.co.kr
윤용성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