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공의 복귀했어도…전남대병원 충원율 68%
검색 입력폼
사회일반

전공의 복귀했어도…전남대병원 충원율 68%

정원 미달 지속·의료 공백…화순전남대병원 55.3%

백승아 더불어민주당 의원
의과대학 정원 확대에 반발해 병원을 떠났던 전공의들이 돌아왔지만 전남대학교병원의 의료 공백은 해소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10일 국회 교육위원회 더불어민주당 백승아 의원이 전국 15개 국립대병원(본원·분원 구분)의 ‘전공의 정·현원 현황(하반기 모집 결과 반영)’ 자료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정원 2861명 중 현재 1955명(68.3%)의 전공의가 근무 중인 것으로 확인됐다.

전공의들이 복귀했지만 여전히 전체 정원에 미치지 못하고, 의정갈등 전인 2023년과 비교했을 때 전공의는 턱없이 부족한 수준이다.

실제로 2023년 12월 기준 14.4%(정원 2608명 대비 현원 2233명)였던 국립대병원의 전공의 결원율은 31.7%로, 17.3%p 가량 상승했다.

국립대 병원 간 격차도 상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대병원(본원)의 전공의 충원율 80.4%, 전북대병원은 71.7%에 달했다. 반면 경상국립대병원(창원) 42.6%, 경북대병원(칠곡) 52.8%, 전남대병원(화순) 55.3%, 충북대병원은 60.0%에 그쳤다. 전남대병원(본원)도 68.0% 수준이었다.

수련환경 혁신지원사업 대상인 필수의료 8개 과목(내과·외과·산부인과·소아청소년과·응급의학과·심장혈관흉부외과·신경과·신경외과)으로 전공의 수를 한정해 살펴보면, 전공의 충원율과 격차는 더욱 심각했다.

2023년 12월 81.1%였던 전체 국립대병원 필수과 전공의 충원율은 현재 55.7%로 25.4%p 하락했다. 15개 병원 중 10개 병원의 필수과 전공의 충원율은 50%를 밑돌았다.

백승아 의원은 “만성적인 필수과 전공의 부족, 누적된 재정적자 등으로 지방 국립대병원들은 복합적 위기에 처해 있다”며 “지역·필수의료는 물론 의학교육, 임상연구의 중추인 국립대병원이 무너지지 않도록 정부의 정교한 지원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이어 “재정적 지원과 함께 필수과 전공의 확보와 안정적인 수련환경 조성, 그리고 교육·연구·임상 기능의 균형 잡힌 발전을 위한 인프라 확충 등 국립대병원들이 본연의 역할을 다할 수 있도록 보다 근본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산하 기자 goback@gwangnam.co.kr         이산하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광남일보 (www.gwangnam.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