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3일 지역 정가에 따르면 더불어민주당은 ‘광역·기초자치단체장 및 광역·기초의원 평가 시행 세칙’에 따라 시·도당별로 ‘선출직공직자평가위원회’를 구성하고, 다음달 중순부터 본격적인 평가에 돌입할 예정이다.
평가를 통해 ‘하위 20%’에게는 후보자추천심사 시 본인이 얻은 점수의 20%를 감하고, 경선 시에는 본인이 얻은 득표수의 20%를 감한다.
따라서 현역 평가 결과 하위 20%에 포함되면, 내년 지방선거 경선에서 20%의 감점 대상이 되기 때문에 사실상 본선 관문을 넘기가 어렵다.
광역단체장은 전국 단위 평가가 진행된다. 이를 출마 예상 현역들에게 적용하면, 광역단체장은 민주당 출신이 김동연 경기지사, 강기정 광주시장, 김영록 전남지사, 김관영 전북특별자치도지사, 오영훈 제주지사 등 5명으로 이 중 1명이 하위 20%에 포함된다.
또 기초단체장은 광역 단위로 이뤄지고, 광역의원은 의회별 또는 상임위별, 기초의원은 의회별 평가한다.
이를 적용할 경우 기초단체장은 광주 5명 중 1명, 전남은 민주당 소속 18명 가운데 3선 제한에 걸린 완도군수를 제외한 17명 중 최소 3명이 하위 20%에 포함될 수 있다.
광역의회는 의회별 평가 시 광주시의원은 민주당 소속 21명 중 4명, 전남도의회는 56명 중 11명이 하위 20% 대상이다.
지역 정가에서는 이 같은 하위 20% 명단을 사실상 ‘살생부’로 보고 있다.
광주·전남지역의 경우는 민주당의 심장부이자 텃밭인 만큼 ‘경선이 곧 본선’으로 여겨지고 있어, 20% 감점 페널티는 ‘공천 탈락’과 마찬가지다.
그동안 지역 역대 선거에서도 하위 20% 대상자 대부분은 불출마를 선택해 왔다. 당내 경쟁이 치열한 상황에서 높은 득표율을 기록해도 20%가 감점되면 경선에서의 승리를 장담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지역 정가에서는 현역들의 생사를 쥔 선출직평가위원회 위원들의 성향을 파악하느라 분주하다.
여기에 민주당은 이번 지방선거를 앞두고 개인 비위를 넘어서 친인척과 측근까지 도덕성을 검증하는 등 선출직공직자 평가 기준을 강화하면서 하위 평가를 받는 사례는 더욱 더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다만 민주당이 선출직 평가를 강화하면서 이를 악용하는 사례도 나타나고 있다. ‘일부 단체장이나 현역이 하위 20%에 포함될 것’이라는 루머가 돌면서 차분하게 지방선거를 준비하는 도전자들의 힘을 빼놓기도 한다.
지역 정가 한 관계자는 “다음달 선출직 평가를 앞두고 평가 대상이 되는 단체장이나 광역·기초의원들의 긴장감과 불안감이 점점 고조되고 있다”며 “단체장이나 의원들은 그동안의 각종 성과를 챙기는 등 평가 대비에 분주하다”고 말했다.
민주당 한 출마자는 “지역 정치권 내에서 ‘누가 하위 20% 대상자가 될 것’이라는 등의 악의적인 루머는 재선이나 3선을 준비하는 현역에게는 치명적이고, 당에도 도움이 되지 않을 것”이라며 “중앙당 차원에서 이런 말을 만들어 내는 후보에 대한 페널티 등 대책도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전했다.
장승기 기자 sky@gwangnam.co.kr
장승기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2025.11.13 (목) 21:3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