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흥군, 구 토지대장 한글화 변환사업 추진
검색 입력폼
고흥

고흥군, 구 토지대장 한글화 변환사업 추진

신뢰성 높은 민원서비스 제공 기대

변환 전
변환 후
고흥군은 100여 년 전 한자로 작성된 ‘구 토지대장’의 한글화 변환 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한다고 29일 밝혔다.

구 토지대장은 1910년 일제에 의해 시행된 토지조사사업 당시 한자로 작성돼 1975년까지 사용된 지적공부다. 현재까지도 토지 소유권 분쟁, 부동산 소유권 특별조치법, 조상 땅 찾기, 토지 표시사항 변동조사 등 다양한 토지행정 업무의 기초자료로 활용되고 있다.

이번 사업은 고흥군에 보관 중인 약 31만장의 구 토지대장은 대부분 어려운 한자와 일본식 표기, 과거 행정 용어로 작성돼 있어 일반 국민은 물론 행정기관에서도 내용 해석에 큰 어려움을 겪어왔다.

군은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지난해까지 지적서고에 보관 중인 약 31만장의 구 토지대장에 대해 고해상도 이미지 구축을 완료했다. 이를 바탕으로 2027년까지 3개년에 걸쳐 연차별로 전면 한글화를 추진하고, 지적 통합관리 시스템을 구축할 계획이다.

고흥군 관계자는 “이번 구 토지대장 한글화 변환사업은 단순한 기록 정리가 아닌, 미래를 위한 행정혁신의 일환”이라며 “군민들이 실질적으로 체감할 수 있는 변화를 만들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고흥=김두성 기자 kds081177@gwangnam.co.kr         고흥=김두성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광남일보 (www.gwangnam.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키워드 :
- ‘돌아온 각설이’ 현대판 품바 재해석
- ‘가정의 달’ 문화예술로 의미있는 연휴
- 감동의 드라마 ‘전남장애인체전’ 30일 장성서 팡파르
- 광주 송정매일시장 인근 상가서 화재…인명피해 없어
- 광주 동구불교협의회, 자비나눔 실천
- 세이프온 ‘찾아가는 교통·생활 안전골든벨’ 성료
- 광주시장애인종합복지관, 행복 나들이 성료
- ‘국립서울예술단’ 광주 이전 진단 포럼 열려
- AI 시대, 자녀를 위한 현명한 디지털 안내서
- 플랫폼 노동자 등 소외된 사람들의 삶 조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