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후보 선거대책위원회가 5·18민주화운동 당시 계엄군 지휘 책임자인 정호용 전 국방부 장관을 상임고문으로 임명했다가, 비판 여론이 거세지자 서둘러 철회했기 때문이다.
15일 5·18기념재단과 5·18공법3단체(유공자회·부상자회·공로자회)는 이날 공동성명을 통해 “5·18 학살 책임자 정호용을 영입 시도한 김문수 후보 선대위에 강력한 유감을 표한다”고 밝혔다.
앞서 국민의힘 중앙선대위는 지난 14일 오후 제21대 대통령선거대책기구 추가 인선을 단행하면서 정 전 장관 등이 포함된 대선 후보 자문 및 보좌역 23명의 명단을 발표했다.
하지만 논란이 일자 같은 날 정 전 장관에 대한 위촉을 취소했다.
이 같은 조치는 오는 5·18민주화운동 기념식을 앞두고 호남지역 민심 이반을 우려한 것으로 해석된다.
오월단체는 “정호용은 계엄군을 이끌며 광주시민을 무력 진압한 5·18 책임자 중 한 명”이라며 “이런 인물을 고위 자문직에 임명한 행위는 5·18의 역사와 희생자, 유가족에 대한 모욕이며, 민주주의에 대한 정면 도전이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임명이 취소됐더라도 이런 시도 자체가 김문수 후보 선대위의 역사 인식 수준을 보여준다”며 “국민적 분노에 앞에 철회한 것이지, 결코 진정한 반성과 사과에서 비롯된 결정이 아니기 때문이다”고 지적했다.
끝으로 단체는 “민주주의는 단지 제도가 아니라 피로 지켜낸 역사다. 이를 망각하고 5·18을 능멸하는 어떤 시도도 결코 용납하지 않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정호용 전 국방부 장관은 군 내부 사조직인 ‘하나회’의 핵심 멤버로 5·18 당시 육군 특수전사령관을 역임했다.
12·12 군사반란과 5·18민주화운동 진압을 주도한 혐의로 1997년 대법원에서 징역 7년의 유죄 확정 판결을 받은 바 있다.
윤용성 기자 yo1404@gwangnam.co.kr
윤용성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