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더불어민주당 정청래(왼쪽) · 박찬대 당대표 후보들이 29일 오후 서울 마포구 MBC에서 열린 TV토론회에 참석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
이번 전당대회에서 민주당은 대의원 15%, 권리당원 55%, 일반 국민 30% 투표를 반영해 신임 당 대표를 뽑는다. 해당 득표율은 권리당원 투표 결과만 합산한 것으로 대의원·일반 국민 투표 결과는 이날 전당대회에서 발표된다.
민주당은 당대표 및 최고위원 선출 방식을 기존 ‘순회경선’에서 ‘통합경선’으로 변경한데 따른 것이다.
최근 전국적으로 폭우 피해가 속출하는 상황을 고려해 이미 진행된 충청권, 영남권 경선에 이어 지난 30일부터 호남권과 경기·인천·서울·강원·제주권 투표를 온라인으로 진행한다.
이번 당 대표 선거는 제도적으로 권리당원의 영향력이 과거보다 훨씬 커졌다.
민주당 전당대회 규정은 당초 대의원 30%, 권리당원 40%, 국민 여론조사 25%, 일반당원 5% 비율이었으나, 이번에 권리당원 비중이 15%p 늘어 55%로 상향 조정됐다.
반면 대의원 비중은 15%로 낮아졌다. 대의원은 현역 국회의원과 지역위원장, 기초·광역의원, 지방자치단체장 등으로 구성됐으며, 약 1만여 명에 달한다.
특히 전체 권리당원은 111만1000여 명이며, 이 중 호남 권리당원은 35만여 명으로 3분의 1 가량을 차지, 경선 결과에 결정적 변수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다.
선거에 출마한 정청래·박찬대 후보는 전당대회를 이틀 앞둔 31일 투표 참여를 독려하면서 막판 지지를 호소했다.
정 후보는 이날 페이스북에서 “민심을 이길 정권은 없고, 당원을 이길 당권은 없다”며 “오직 민심, 오직 당심만 믿고 가겠다”고 말했다
그는 특히 호남권 권리당원의 투표율이 21.88%로 경기·인천(36.05%), 서울·강원·제주(31.18%)에 못 미친다는 점을 언급하면서 적극적인 참여를 호소했다.
박 후보는 이날 오후 여의도 중앙당사에서 열리는 청년위원회 정책 제안서 전달식에 참석한 뒤 ‘전국 청년 릴레이 지지 선언’에서 세몰이에 나선다.
앞선 당원 투표에서는 정 후보에게 밀렸지만, 여론 조사상 청년층이나 여성 지지율에서는 박 후보가 우세하다는 게 캠프의 판단이다.
다만 청년층의 경우 40∼50대 주류 당원보다 상대적으로 투표 참여가 저조할 수 있다는 점에서 박 후보 역시 투표 독려에 사활을 걸고 있다.
이성오 기자 solee235@gwangnam.co.kr
이성오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