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실질적인 도움이 된다는 인식에 따라 해당 사업 수혜자의 문턱을 낮췄지만 예산 부족으로 몰려드는 수요층에 장비가 공급되지 못하고 있다.
17일 보건복지부 등에 따르면 응급안전안심서비스는 지난 2020년부터 홀로 사는 어르신이나 장애인 등 보호가 필요한 가정에 출입감지기, 화재감지기, 응급호출기 등 ICT 기기를 설치해 응급상황 발생 시 119에 자동으로 신고하고 출동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서비스다.
2020년 0세대에 그쳤던 광주지역 응급안전안심서비스 이용자는 이듬해 2800여 가구로 폭증했다. 이후 2022년 4600여 가구, 2023년 7300여 가구, 지난해 7600여 가구로 해마다 증가하고 있다.
특히 해당 서비스의 응급상황 대응 실적도 늘면서 안전 취약계층의 사각지대 해소에 도움이 된다는 인식이 급속히 확산하고 있다. 2023년 1365건이었던 응급상황 대응 실적은 지난해 1680건으로 300여건이 증가했다.
하지만 응급안전안심서비스를 신청해도 실제 이용하기까지는 상당한 시간을 기다려야 하는 상황이다.
지난해 4월 보건복지부가 소득 기준을 없애면서 65살 이상 홀몸노인은 누구나 신청할 수 있도록 사업을 확대했지만, 예산과 장비는 제대로 확충되지 않아서다.
때문에 일부 지자체에서는 1년 전 신청자가 아직도 서비스를 이용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실제로 광주 5개 자치구 중 동구와 광산구를 제외한 서구, 남구, 북구에서는 신청자 대비 장비 보급이 저조한 것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서구에서 342건을 신청했지만 실제 보급은 131건에 불과했다. 남구도 1513건 신청·1282건 보급, 북구는 284건 신청·268건 보급 등으로 확인됐다.
20~200여건의 대기가 발생하면서 동 행정복지센터나 노인복지관 등을 찾은 시민 중 대기자가 많다는 설명을 듣고 발길을 돌리는 경우도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일부 자치구에서는 안전 사각지대 해소를 위해 신청 대기자 중 희망자 대상으로 AI복지사(돌봄콜), 모바일안심케어, 경청상담, IOT스마트링, 밀센서 등 서비스를 연계하고 있다.
하지만 전국적으로 서비스를 신청하고도 장비를 설치·보급받지 못한 대기자만 27만8000명 중 3만5000여명에 이른다.
지난해 장비 1만2000여대를 늘렸지만, 신청자가 한꺼번에 몰리면서 현장에서 대기 민원이 이어지고 있다.
또 서비스 이용자가 고령으로 사망하거나 요양시설로 입소할 경우 장비를 회수하는데 일부 자치구 회수율은 10%가 되지 않으면서 서비스 신청 건수를 해소하기에는 역부족인 상황이다.
한 자치구 관계자는 “예산과 장비가 확보되지 않은 상황에서 서비스 이용자가 늘어 다른 사업과 연계할 수 있는 방안이 있는지 함께 검토하고 있다”며 “응급상황 초기대응이 사각지대에 놓이지 않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윤용성 기자 yo1404@gwangnam.co.kr
윤용성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