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진숙 "탈수급정책 ‘제도’는 있는데 ‘탈수급’은 없다"
검색 입력폼
정치일반

전진숙 "탈수급정책 ‘제도’는 있는데 ‘탈수급’은 없다"

"생계급여 유예제도 도입·실질적 자산지원 필요"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전진숙 의원(더불어민주당·광주 북구을)은 28일 한국자활복지개발원 국정감사에서 “정부의 탈수급정책이 현실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으며, 근로능력이 있는 수급자들이 실제로 자립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보건복지부가 전진숙 의원실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근로능력이 있는 조건부수급자는 12만 5000여 명에 달했지만, 자활사업에 참여한 인원은 3만7744명으로 참여율은 30.1%에 그쳤다.

생계급여에서 완전히 벗어난 탈수급자는 1만4588명으로 전체의 11.6% 수준에 불과해, 제도가 실제 자립으로 이어지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산형성지원사업인 ‘희망저축계좌Ⅰ’ 역시 참여 감소와 중도해지율 증가로 실효성이 떨어지는 것으로 드러났다.

지난해 가입가구는 2962가구로 감소했으며, 중도해지율은 13.4%로 상승했다.

특히 중도해지한 2134가구 중 1832가구(85.8%)가 ‘본인 희망 포기’로 해지한 것으로 확인됐다.

전 의원은 “정부가 탈수급 유인을 제공하겠다고 만든 제도가 오히려 생계급여 중단에 대한 두려움 때문에 포기하는 결과를 낳고 있다”고 비판했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2024 한국복지패널조사’에 따르면, 수급자가 탈수급 시 가장 부담을 느끼는 항목은 의료비(65.8%)와 주거비(31.8%)로 나타났다.

전 의원은 “현재 의료급여는 자활급여 특례를 통해 최대 5년간 유지할 수 있지만, 생계급여는 즉시 중단된다”며 “일을 시작하면 오히려 생계가 더 불안해지는 구조가 되어 근로 의욕과 탈수급 의지를 약화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정부가 일하는 수급자의 자활을 장려한다면, 생계급여도 일정 기간 유예할 수 있는 제도를 도입해 탈수급 이후의 생활 안정성을 보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희망저축계좌Ⅰ의 지원금 규모와 관련해서는 “현재의 월 30만 원 매칭 지원금은 실질적인 자립 유인책으로 작동하지 못하고 있다”며 “단순히 참여 가구 수를 늘리기보다, 지원금 규모를 현실화하고 근로 지속성과 자산형성 효과를 높이는 방향으로 제도를 개편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전 의원은 “보건복지부와 한국자활복지개발원이 협의해 생계급여 유예제도 도입과 자산형성지원의 실효성 강화를 내년도 예산에 반영할 수 있도록 구체적인 계획을 수립하고, 추진 상황을 국회에 보고하라”고 주문했다.
이성오 기자 solee235@gwangnam.co.kr         이성오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광남일보 (www.gwangnam.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