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이재명 대통령이 29일 경북 경주박물관에서 한미 정상회담 기념 촬영을 마친 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에게 자리를 안내하고 있다. (연합=대통령실통신사진기자단) |
양국 대통령은 이날 모두 발언에서 대한민국과 한반도 안보에 대해 각별한 관심을 보였고, 이 대통령은 한국이 방위비 지출을 늘리겠다며 트럼프 대통령을 향해 핵추진잠수함 연료 공급을 허용해달라고 요청했다.
이 대통령은 “한반도는 아주 오랫동안 분쟁지역이었고 지금도 휴전 중인 나라이지만, 미국의 도움으로, 국제사회의 도움으로 지금 이 자리에 안전하게 발전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한미관계는 동맹의 현대화, 미래형 포괄적 전략동맹으로 발전돼야 한다”고 밝혔다.
특히 “대한민국도 방위비 증액을 통해서, 방위산업 발전을 통해서 자체적 방위 역량을 대폭 키울 생각”이라며 “미국의 방위 부담을 줄이기 위해서 대한민국의 방위산업에 대한 지원이나 방위비 증액은 확실하게 해나가겠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트럼프 대통령에게 “핵 추진 잠수함의 연료를 우리가 공급받을 수 있도록 결단을 해 주시면 좋겠다”며 “우리가 핵무기를 적재한 잠수함을 만들겠다는 게 아니라, 디젤 잠수함의 잠항 능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북한이나 중국 쪽 잠수함들 추적 활동에 제한이 있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한반도에서 여러분(남과 북)이 공식적으로 전쟁 상태라는 것을 알고 있으며 그 모든 것을 바로잡기 위해 우리가 무엇을 할 수 있는지 보겠다”고 화답했다.
특히 “양국 리더십에 많은 애정이 있다”며 두 달 만에 다시 만난 이 대통령에게 친근감을 표하며 “이재명 대통령과 함께 열심히 일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 양국 대통령은 무역협상 이슈와 관련해 모두 발언에서 상당한 의견을 교환했다.
이 대통령은 “대한민국이 대미 투자와 구매 확대를 통해 미국의 제조업 부흥을 지원하고 조선 협력도 적극적으로 해 나가겠다”며 “그게 양국 경제에 도움이 될 뿐 아니라 한미동맹을 실질화하고 심화하는 데에도 크게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한국이) 조선업의 대가(master)가 됐다”며 양국 조선협력 중요성에 대해 언급했다.
이어 “선박 건조는 필수적인 일로, 필라델피아 조선소와 다른 여러 곳에서 우리가 (함께) 일하고 있다”며 “(한국 기업의) 여러분들이 들어와 미국에서 배를 함께 만들고 있다. 짧은 기간 안에 최고로 올라설 것”이라고 강조했다.
다만 양국 정상은 대미투자금의 구체적 운용 방식 등 그동안 첨예한 쟁점으로 꼽혀온 사안들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다.
두 대통령은 북미 정상 간 만남이 성사되지 않은 것에 대해 아쉬움을 표했다.
이 대통령은 “아직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트럼프 대통령의 진심을 잘 수용하지 못하고 이해를 잘하지 못한 상태”라며 “다만 트럼프 대통령이 김 위원장과의 회담을 요청하고 언제든 받아들일 수 있다고 말씀하신 그 자체만으로도 한반도에 상당한 평화의 온기를 만들어내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이것도 또 하나의 씨앗이 돼 한반도에 거대한 평화의 물결을 만드는 단초가 될 것”이라며 “우리로서는 큰 기대를 갖고 대통령님의 앞으로 활동을 지켜보겠다”고 덧붙였다.
이 대통령은 “트럼프 대통령이 취임 후 지금까지 세계 8곳의 분쟁 지역에 평화를 가져왔다. ‘피스메이커’ 역할을 정말 잘하고 계시다”며 “트럼프 대통령이 가진 큰 역량으로 전 세계와 한반도에 평화를 만들어주시면, 제가 그렇게 할 수 있도록 여건을 조성하는 ‘페이스메이커’ 역할을 충실하게 하겠다”고 트럼프 대통령을 추켜 세웠다.
트럼프 대통령은 “김정은 위원장을 내가 굉장히 잘 안다. 이번엔 타이밍이 맞진 않았다”면서 김 위원장과의 회담 불발을 인정하면서도 “진전을 이루기 위해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고 밝혔다.
아울러 “상식이라는 말 내가 좋아한다. 결국 상식대로 우리는 할 것”이라며 “시간이 좀 걸릴 것이기 때문에 인내심을 가질 필요가 있지만 우리는 해낼 것”이라고 재차 강조했다.
이성오 기자 solee235@gwangnam.co.kr
이성오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2025.10.29 (수) 21: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