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새창으로 읽기
이메일주소 접기
보낸사람
“목포대학교 대외협력 홍보팀”
주소추가
수신차단
국립목포대학교(총장 송하철)는 전남도가 추진하는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RISE)사업 미래혁신챌린지 프로젝트에서 ‘AI·데이터’ 분야 주관기관으로 선정됐다고 밝혔다.
이번 선정으로 국립목포대는 연 16억원, 총 5년간 80억원 규모의 연구비를 확보하고, 전남 주력산업의 AI 디지털 대전환과 해남 AI 슈퍼클러스터 실현을 위한 핵심거점 역할을 맡게 됐다.
목포대는 이미 세계 최고 수준의 성능을 자랑하는 NVIDIA H100 기반 AI GPU 시스템을 도입한 마이크로 데이터센터를 자체 구축했으며, 지난 5월에는 해남군, 목포MBC, TUV SUD KOREA와 함께 ‘AI기반 지역혁신협력’을 위한 4자 업무협약(MOU)을 체결하는 등 AI 기술 중심의 지역 혁신 생태계 조성에 힘써왔다.
이번 RISE 사업을 통해 국립목포대는 전남의 주력산업인 해양, 에너지, 농수산 등 분야에 AI+X 융합기술을 개발하고, 지역기업 및 기관과의 협력을 통해 AI 실증모델 개발, 지역산업 실증, 전문인력 양성 등 지역 산업의 혁신을 이끌 계획이다. 또한, 해남 데이터센터 구축에 필요한 기술 기반 조성, 데이터 분석체계 운영과 관련 정책 및 제도 기반 연구까지 본격 추진한다.
이영호 목포대 컴퓨터학부 교수는 “국립목포대의 우수한 자원과 기술력을 바탕으로 지역 산업의 AI 전환을 위한 마이크로 데이터 허브를 구축하고, AI+X 기술 실증을 확장해 나가겠다”며 “해남 AI 슈퍼클러스터를 위한 인프라와 기술 개발, 전문인력 양성까지 지역 AI 생태계 구축을 선도하겠다”고 말했다.
목포대는 이번 과제를 통해 61건 이상의 산학공동연구, 72편의 논문 발표, 62건의 지식재산권 창출, 300명의 전문 인력 양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김성환 산학협력단장은 “이번 RISE 사업 선정은 우리 대학이 전남 AI 산업의 중심기관으로 인정받은 결과”라며 “보유한 인프라와 연구 역량을 결집해 해남 AI 슈퍼클러스터의 실현과 전남 산업의 지속 가능한 AI 디지털 대전환에 실질적으로 기여하겠다”고 강조했다.
목포=이훈기 기자 leek2123@gwangnam.co.kr
목포=이훈기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