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심장’ 광주·전남 "GPU 확보하라"
검색 입력폼
자치

‘AI 심장’ 광주·전남 "GPU 확보하라"

엔비디아, GPU 26만개 공급
공공·민간 AI 인프라 재편
"독립형 클라우드 전략을"

광주에서 진행 중인 일상속 AI 실증 모습.
정부와 엔비디아가 손잡고 추진 중인 GPU(그래픽처리장치) 26만개 규모의 공급 사업이 가시화되면서 광주·전남을 비롯한 전국 각지에서 ‘GPU 확보전’이 본격화할 전망이다.

엔비디아는 최근 정부와 주요 대기업에 총 26만개 이상의 GPU를 공급하기로 합의했다. 구체적으로 정부와 삼성전자, SK그룹, 현대자동차가 각각 5만개씩, 나머지 6만개는 네이버클라우드에 공급된다. 정부에 배정된 5만개의 GPU는 국가AI컴퓨팅센터 구축과 공공 연구 인프라 확충에 투입될 예정이다. 나머지는 민간의 AI 팩토리, 초거대 AI 모델 개발 등 산업용 AI 고도화에 활용된다. 다만 세부 배분 기준과 일정은 아직 확정되지 않아 향후 정부와 기업 간 협의 과정에서 조정될 여지가 있다.

GPU는 인공지능(AI)의 ‘뇌이자 심장’으로 불린다. 초거대 언어모델(LLM)을 학습하려면 수천 개의 GPU가 필요하며, 반도체 설계와 서버 구축, 냉각·전력 인프라 등 초기 투자비가 막대하다. 결국 GPU를 얼마나 확보하느냐가 곧 AI 기술력과 산업 패권의 척도가 된다.

실제로 엔비디아 GPU는 오픈AI, 구글 딥마인드, 메타 등 글로벌 AI 선도 기업들의 핵심 경쟁력이다. 국내에서도 삼성전자, SK, 네이버, 카카오, KT 등이 GPU 확보 경쟁에 뛰어든 가운데, 정부 역시 ‘AI 반도체 고도화 전략’을 통해 공공기관과 연구기관에 GPU 자원을 배분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광주의 경우 국내 최고 수준의 AI 인프라를 갖춘 도시로 평가받고 있다. 지난 5년간 4300억원을 투입해 국가 AI 데이터센터와 대형 드라이빙 시뮬레이터 등 1단계 핵심 인프라를 완비했고, 올해부터는 6000억원 규모의 ‘AX 실증 밸리’ 2단계 사업에 착수했다.

그러나 AI와 고성능 연산 수요 급증으로 인해 GPU 용량은 이미 한계에 다다른 상태다. 2019년 기준으로 연산 능력 88.5PF, 저장 용량 107PB 수준으로 설계돼 최대 1000개 기업의 동시 지원이 가능하다는 평가를 받았지만, 불과 몇 년 만에 현실 수요를 감당하기 어려운 상황에 이르렀다.

특히 국가AI컴퓨팅센터 유치가 무산되면서 광주는 스스로 GPU를 확보해야 하는 새로운 과제에 직면했다. 그러나 이번 정부-엔비디아 공급 합의는 광주에 오히려 ‘두 번째 기회’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 중앙정부 사업에 의존하지 않고 자체적으로 클라우드 연산 인프라를 확충한다면, ‘독립형 AI 생태계’를 구축할 수 있기 때문이다.

지역 IT 업계 관계자는 “AI 경쟁의 승패는 데이터보다 GPU에 달려 있다”며 “광주가 국가사업의 수혜를 기다리기보다 정부와 민간의 GPU 공급 구조에 적극적으로 참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부는 공공부문뿐 아니라 민간 클라우드 사업자에도 GPU를 분산 제공해, 전국 단위의 AI 학습 인프라를 공동 활용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할 방침이다. 이 과정에서 광주시가 주도적으로 참여할 경우, 지역 기반의 클라우드 센터를 중심으로 AI 기업 지원 생태계를 한층 강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GIST(광주과학기술원)와 AI사관학교 등이 GPU 기반 연구 인프라를 확보한다면, 지역 청년과 스타트업이 초거대 AI 모델을 직접 학습·개발할 수 있는 환경이 마련될 전망이다.

전남도 역시 GPU 연산에 필요한 대용량 전력, 냉각 설비, 통신망 등을 갖춘 부지를 중심으로 데이터센터 유치를 적극 추진 중이다. 나아가 AI 반도체 테스트베드, 초대형 모델 학습용 연구 인프라와 연계해 남부권 AI 산업의 ‘확장축’을 구축한다는 구상이다.

특히 해남 솔라시도에는 글로벌 AI데이터센터와 RE100(재생에너지 100%) 산업단지가 결합된 대규모 에너지 클러스터가 조성 중이며, 여수·광양권은 안정적인 전력 공급망과 항만 물류 인프라를 기반으로 AI 산업 허브로의 도약을 노리고 있다.

이흥노 GIST 교수는 “이번 GPU 공급 협력이 수도권 중심으로 편중된 AI 인프라를 지역으로 분산시키는 전환점이 될 수 있다”며 “광주처럼 이미 기본 인프라가 구축된 지역은 공동 GPU 클러스터를 운영해 지역 산업 경쟁력을 키워야 한다”고 말했다.
이승홍 기자 photo25@gwangnam.co.kr         이승홍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광남일보 (www.gwangnam.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