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3일 통계청에 발표한 ‘지난 30년간 우리나라의 혼인·출생변화’ 자료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기준 광주의 혼인건수는 5688건으로 30년 전인 1995년(1만377건)과 비교해 45.2% 줄었다. 전남도 1만6789건에서 7049건으로 58.0% 급감했다.
1000명당 혼인건수인 조혼인율은 같은 기간 대비 광주는 8.1명에서 4.0명으로 반토막 났고, 전남은 7.7명에서 3.9명으로 주저앉았다.
출생아 수 통계도 우울 그 자체다.
광주의 출생아 수 추이를 보면 1995년 2만2900명에서 감소추세가 이어지며 지난해에는 6000명까지 추락했다. 30년 새 무려 73.7%가 급감했는데 이는 전국 평균 증감률(66.7%)을 크게 상회하는 수치다.
전남은 2만8200명에서 지난해 7800명까지 떨어지며 75.1%의 감소율을 보였다. 전국 17개 시·도 중 경남(-79.9%), 부산(-75.2%)에 이어 세 번째로 감소율이 크다.
합계출산율(여성 1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평균 출생아 수)의 경우 1995년 광주는 1.83명이었는데 지난해에는 0.79명으로 61.8% 급락했다. 전국 17개 시·도 중 가장 감소폭이 크다.
전남 역시 1.78명에서 42.3% 줄어든 1.03명을 기록했다. 다만, 지난해 기준 합계출산율이 1명 이상인 광역 시·도는 세종(1.03명)과 전남 뿐이다.
전국적으로도 결혼 건수가 30년간 반토막 수준으로 떨어졌고, 출생아 수도 3분의 1로 축소됐다.
세부적으로 혼인 건수는 1995년 39만8500건에서 지난해 22만2400건으로 30년 새 44.2% 줄었다.
외국인과의 결혼은 1만3500건에서 2만800건으로 53.9% 늘었다. 평균 초혼 연령은 1995년 남자 28.4세, 여자 25.3세에서 지난해 남자 33.9세, 여자 31.6세로 남자는 5.5세, 여자는 6.2세 높아졌다.
출생아 수는 1995년 71만5000명에서 급감해 2023년 23만명으로 최저를 기록한 후 지난해 23만8000명으로 소폭 늘었다. 30년간 66.7% 감소한 것이다.
합계출산율은 1995년 1.63명에서 지난해 0.75명으로 54.2% 줄었다.
모의 평균 출산연령은 1995년 27.9세에서 2024년 33.7세로 5.8세 상승했으며, 부의 평균연령은 같은 기간 31.1세에서 36.1세로 5.0세 높아졌다.
첫째아의 비중은 크게 확대됐다.
1995년 34만5800명이던 첫째아는 지난해 14만6100명으로 19만9700명(57.7%) 감소했다.
하지만 첫째아 비중은 1995년 48.4%에서 지난해 61.3%로 13.0%p 커졌다.
둘째아와 셋째아 감소폭이 각각 23만1900명(75.4%), 4만5100명(73.5%)으로 더 컸기 때문이다.
혼인 외의 출생아 비중은 같은 기간 1.2%에서 5.8%로 확대됐다.
쌍둥이 등 다태아 출생아 비중은 1995년 1.3%에서 2024년 5.7%로 4.3%p 늘었다.
송대웅 기자 sdw0918@gwangnam.co.kr
송대웅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