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광주시는 4일 입장문을 통해 “광주·전남특별광역연합은 수도권 일극체제와 지방소멸 위기에 맞서기 위한 대안”이라며 “광주는 호남권역의 새로운 도약을 위해 ‘특별광역연합’ 설립 절차를 성실히 이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시의회 역시 지난달 24일 규약안을 최종 의결하며 초광역 협력에 대한 확고한 의지를 보여줬다”며 “이는 특별광역연합의 성공적 출범을 향한 의미있는 진전이며 초광역 협력에 대한 광주시민의 강력한 열망을 반영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시는 “수도권 일극체제 극복을 위한 이재명 정부의 ‘5극(수도권·충청권·호남권·대경권·부울경) 3특(강원·전북·제주) 전략’은 호남권이 새로운 성장 동력을 마련해 중앙의 적극적 정책 지원을 받기 위한 선택이 아닌 필수”라며 “광주·전남 특별광역연합이 출범한다면 초광역 경제권 형성으로 호남권 전체 경쟁력이 한층 강화되는 모범사례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전남도의회는 아직까지 규약안을 상정조차 하지 않고 있어 광주·전남 특별광역연합의 연내 출범에 중대한 차질이 우려되고 있다”며 “전남도의회의 신속하고 현명한 결단을 기대한다”고 요구했다.
한편 광주시와 전남도·광주시의·전남도의회 등은 지난 8월 27일 나주시청에서 광주·전남특별광역연합을 올해 안에 출범시키기로 합의하고 1호 사무, 규약안 등을 마련했다.
이후 광주시와 전남도, 시·도의회는 입법예고와 규약안 상정에 앞서 실무협의를 통해 사무소 위치와 의원 정수, 의장·부의장 수와 선출 방식 등에 합의한 후 광주시의회는 의결했다.
하지만 전남도의회는 지난달 15일 규약안의 심사를 보류한데 이어 같은 달 22일 간담회에서도 가·부결 여부를 결론 내리지 못하면서 광주·전남 특별광역연합 연내 출범이 불투명해졌다는 우려를 낳고 있다.
양동민 기자 yang00@gwangnam.co.kr        
양동민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2025.11.04 (화) 20:5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