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이재명 대통령이 4일 국회 본회의장에서 2026년도 정부 예산안 시정연설을 하고 있다. 오른쪽 국민의힘 자리는 의원들 불참으로 비어 있다. 연합뉴스 | 
![]()  | 
| 이재명 대통령이 4일 서울 여의도 국회 본회의장에서 내년도 정부 예산안에 대한 시정연설 하고 있다. 연합뉴스 | 
이재명 대통령은 4일 “내년도 예산안은 바로 인공지능(AI) 시대를 여는 대한민국의 첫 번째 예산안”이라며 국회 처리에 대한 초당적 협력을 당부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국회에서 가진 시정연설에서 “내년은 ‘AI 시대’를 열고 대한민국의 새로운 100년을 준비하는 역사적 출발점”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이 대통령은 “박정희 대통령이 산업화의 고속도로를 깔고, 김대중 대통령이 정보화의 고속도로를 낸 것처럼, 이제는 AI 시대의 고속도로를 구축해야 한다”며 “‘피지컬 AI’ 선도 국가 달성을 위해 집중 투자하겠다”고 소개했다.
정부는 2026년도 총지출을 올해보다 8.1% 늘어난 728조원으로 편성했다. 이 중 AI 관련 예산은 10조1000억원으로, 올해(3조3000억원)보다 세 배가량 확대됐다. 인재 양성과 인프라 구축에 7조5000억원, 산업·생활·공공 전 분야 AI 도입에 2조6000억원이 투입된다.
또 고급 인재 1만1000명을 양성하고 세대별 맞춤형 AI 교육을 확대하며, 고성능 GPU 1만5000장을 추가 구매해 정부 목표인 3만5000장을 조기 확보할 계획이다. 첨단 전략산업 연구개발(R&D) 예산도 역대 최대 규모인 35조3000억원으로 늘어났다.
이 대통령은 “엔비디아가 한국에 GPU 26만장을 공급하기로 한 만큼 민간기업의 확보에도 차질이 없을 것”이라며 “향후 5년간 150조원 규모의 국민성장펀드를 조성해 첨단산업의 성장 과실을 국민이 함께 나누겠다”고 말했다.
이날로 취임 선서 5개월째를 맞았다고 소개한 이 대통령은 그 동안의 성과에 대해 “불법 계엄의 여파 극복을 위해 비상한 각오로 임했고, 다행히 지금 우리 경제는 위급상황을 벗어났다. 주가지수도 4000을 돌파했다”고 평가했다.
특히 “산업화 시대에는 하루가 늦으면 한 달이 뒤처지고, 정보화 시대에는 하루가 늦으면 1년이 뒤처졌지만, AI 시대에는 하루가 늦으면 한 세대가 뒤처진다”며 신속한 대응의 필요성을 역설했다.
국회를 향해서도 “정부는 열린 자세로 국회의 제안을 경청할 것”이라며 “여야 간 입장 차이가 있더라도 초당적 협력을 부탁드린다”고 당부했다.
이성오 기자 solee235@gwangnam.co.kr        
이성오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2025.11.04 (화) 22:5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