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산림청 산사태정보시스템 |
4일 산림청 산사태 위험등급 통계(2025년 4월 기준)에 따르면 1등급 면적은 전국 17곳 시도 중 강원이 15만8585㏊로 가장 넓었고, 경북 11만5303㏊, 전남 5만8677㏊, 충북 5만3074㏊ 순이었다.
2등급 면적은 강원이 27만3626㏊로 가장 넓었고, 경북 24만3207㏊, 전남 12만107㏊, 경남 11만6953㏊ 등으로 확인됐다.
다만 광주는 산사태 위험 면적이 적은 편이었다.
광주의 1등급 면적은 902㏊로 제주(72㏊), 인천(621㏊) 다음으로 적었다. 광주의 2등급 면적은 2444㏊로 제주(121㏊), 서울(1569㏊), 인천(1778㏊) 다음이었다.
최근 5년간(2020~2024년) 광주·전남의 산사태 피해 면적은 총 127.42㏊(광주 13.21㏊·전남 114.21㏊)였다.
연도별로 보면 2020년 111.42㏊(광주 13.21㏊·전남 98.21㏊), 2021년 8㏊(전남 8㏊), 2023년 5㏊(전남 5㏊), 2024년 3㏊(전남 3㏊)로 조사됐다.
실제 지난 2021년 7월6일 광양시 진상면 비평리 한 마을 동산의 흙·석축이 경사면을 따라 주택을 덮치면서 80대 여성 1명이 숨졌다.
2020년 8월7일에는 곡성군 오산면 한 마을 야산에서 흘러내린 토사가 주택 5채를 덮쳐 매몰된 주민 5명이 숨졌다.
산사태의 직접적인 원인은 강하고 많은 비의 영향이 크다. 특히 기후변화에 따라 국지성 집중호우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전국 시간당 강수량 50㎜ 이상 폭우가 내린 횟수가 1970년대 7.1회에서 2000년대 18.0회로 30년간 2.5배 이상 증가했다.
산사태 취약지역도 매년 늘어나고 있다.
산사태 취약지역은 산사태(토석류 포함)로 인해 인명·재산 피해가 우려되는 지역으로, 산림 보호법에 따라 2012년 8월부터 지정·고시한 지역이다.
최근 3년간 전국 산사태 취약지역(2022~2024년)은 2만7400개소, 2만8988개소, 지난해 3만1345개소로 파악됐다.
전남의 산사태 취약지역 수는 2022년 2262개소에서 2023년 2196개소로 줄었지만 지난해 2278개소로 늘었다. 같은 기간 광주는 99개소, 113개소, 113개소였다.
전문가들은 산사태 발생 위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대책으로 토석·나무 등의 유출을 방지하는 사방사업 등을 제안했다.
국립산림과학원 관계자는 “산지 주변 개발·훼손 면적이 증가해, 산사태 피해는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산사태가 일어났던 곳에 대해서는 수로 만들기, 산돌쌓기 등 사방공사를 진행하고 산사태 예·경보 시스템·위험지도를 구축해야 한다”고 말했다.
송태영 기자 sty1235@gwangnam.co.kr
송태영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