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민단체 "포스코이앤씨, SRF 중재 중단" 촉구
검색 입력폼
사회일반

광주시민단체 "포스코이앤씨, SRF 중재 중단" 촉구

대책위, 기자회견 열고 촉구

광주지역 시민단체가 가연성폐기물연료화시설(SRF) 열병합발전소 운영 손실을 놓고 광주시에 2100억원을 청구한 포스코이앤씨를 향해 즉각 중재 절차를 중단하고 시민들에게 사과할 것을 촉구했다.

6일 포스코 시민혈세강탈시도저지 광주시민대책위는 광주시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포스코이앤씨는 광주시민 혈세 강탈 시도를 즉각 중단하라”고 밝혔다.

대책위는 “전날 포스코이앤씨와 광주시는 오는 25일로 예정된 대한상사중재원의 8차 심리를 연기하고 상호 실무협의를 통한 자율적인 조정 과정을 시도하기로 합의했다”며 “합의는 현재 포스코이앤씨의 비윤리 경영에 대한 사회적 비난 여론을 피하고, 부당한 중재 절차를 이어가기 위한 명분 쌓기에 불과하다”고 비난했다.

또 “포스코이앤씨가 중재 절차를 멈추고 법원의 재판 절차를 통한 분쟁 해결, 자율적인 대화를 통한 분쟁 해결을 추구해야 하는 이유는 차고도 넘친다”며 “포스코이앤씨가 중재 철회 권한을 갖는 신청인의 지위에서 11개월이나 지난 뒤 기습적으로 중재 신청 금액을 27배나 증액한 것은 당시의 신뢰에 반하는 결정으로 중재 절차의 취지에 위배된다”고 지적했다.

이어 “증액 과정은 중대한 변경임에도 불구하고 이사회의 의결 절차를 거치지 않은 것은 심각한 비위행위”이라면서 “법원의 재판 절차가 아닌 민간 기구인 대한상사중재원의 단심제 중재 절차에 그 결정을 맡기는 것은 부적절하다”고 꼬집었다.

아울러 포스코이앤씨는 대화에 대한 진정한 의지가 있다면 지금 당장 중재 중단을 선언하고, 대화를 통해 이 문제를 풀어나가야 한다고 촉구했다.

또 “대한상사 중재원도 중재가 불필요하거나 불가능한 상황임을 인지하고 중재 절차 중지를 결정하라”고 강조했다.

한편 광주시와 청정빛고을은 2017년 1월 생활폐기물 중 일부를 파쇄·건조해 고형연료제품으로 제조하는 계약을 체결했고 청정빛고을 대표사는 포스코건설의 후신인 포스코이앤씨다.
윤용성 기자 yo1404@gwangnam.co.kr         윤용성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광남일보 (www.gwangnam.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